지나주에 이어 강팀장과 수인분당선 강남구청역에서 조우
야탑역에서 하차 1번출구로 나와 환승 버스정류장에서
누리1번 버스 환승 성남시 영생 관리사업소에서 하차
갈마치고개로 1Km 이동 하여 트래킹을 시작한다.
비가와서 인지 촉촉한 흙산을 쉬엄쉬엄 트래킹 하며
영장산 정상에 올라 스탬프 인증후 준비해간 음식들로 점심을 마치고
태재고개를 거쳐
경기옛길 영남길 트래킹때는 별일 없이 지나갔는데
정상 정자등 공사중으로 어수선한 불곡산 정상에서 잠시 쉰후 하산하여
교통편의상 오리역에서 트래킹을 마치고
귀경 미아리에서 친구들과 저녁을 마치고 귀가함.
오늘도 멋진 산길을 함께 해준
강팀장님께 감사 드리며 행복한 하루를 마감한다.
성남누비길3구간 영장산길 9.7Km 난이도 : 중
트래킹 코스 :
갈마치고개 - 영장산정상 - 거북터 - 곧은골고개 -
새마을고개 - 태재고개(등산육교) - 형제봉정상 -
불곡산정상 - 부천당고개 - 휘남에고개 - 불곡산산림욕장 -
탄천오리공원 - 오리역 ( 18.2 Km, 4시간58분, 34,000걸음)
갈때 :
미아역(4호선)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2호선) 환승
- 왕십리역 (수인분당선) 환승 - 야탑역 하차 1번 출구
(약1시간10분 소요)
누리1번 버스 환승 영생관리사업소(성남장례식장)하차후
도보로 1Km 이동 갈마치 고개 도착 (약40분 소요)
누리1번 버스
운행구간 - 성남시 영생 관리 사업소 ~ 궁내동 톨게이트
운행시간 - 기점 : 첫차 05:30 ,막차 22:30
종점 : 첫차 06:15 ,막차 23:20
배차시간 - 평일 17 ~27분, 주말 23~33분
올때 :
오리역(수인분당선) 승차,미금역(신분당선)환승
양재역(3호선)환승 ,충무로역(4호선) 환승 미아역 하차
(1시간 20분 소요)
성남 누비길 거리 : 62.1 Km
1구간 남한산성길 7.5km 4시간
복정동 완충녹지~영장산정상~산성역~산성폭포(인공폭포)~
불망비~남한산성
스탬프 위치 : 남한산성 남문
2구간 검단산길 7.4km 3시간30분
남한산성~검단산정상~망덕산정상~형제봉 정상~이배재고개(등산육교)~
갈마치고개
스탬프 위치 : 연리지 소나무
3구간 영장산길 9.7km 4시간30분
갈마치고개~영장산정상~거북터~곧은골고개~새마을고개~
태재고개(등산육교)
스탬프 위치 : 영장산 정상
4구간 불곡산길 8.8km 4시간
태재고개(등산육교)~형제봉정상~불곡산정상~부천당고개~
휘남에고개~탄천(오리공원)~동막천~동원동(부수골 입구)
스탬프 위치 : 불곡산 정상
5구간 태봉산길 10.7km 4시간30분
동원동(부수골 입구)~운재산정상~안산정상~태봉산~응달산정상~
도로연접지~방송송신탑~하오고개(등산육교)
스탬프 위치 : 둔지봉 정상
6구간 청계산길 8.5km 4시간30분
하오고개(등산육교)~국사봉정상~이수봉정상~망경대~혈읍재~매봉정상~
옛골 등산로 입구
스탬프 위치 : 이수봉 정상
7구간 인능산길 9.5km 4시간
옛골~인릉산~범바위산~신촌동 등산로 입구~서울공항~
세곡천~대왕교~복정동 완충녹지
스탬프 위치 : 인릉산 정상
갈마치 고개 220m
옛날부터 칡이 많은 곳이어서 갈현(葛峴)이라 불리게 되었다고도 하고,
옛날 선비들이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 가는 도중에
이곳에서 말에게 물을 먹여 갈증을 풀어주고
다시 길을 떠났다고 해서 갈마치(葛馬治) 또는 갈현(渴峴)이라고 하였다는 설도 있다.
평택임씨의 족보에는 갈현(渴峴)으로 기록되어 있다.
영장산 [ 靈長山 ] 413.5m
영장산은 분당구를 8폭 병풍처럼 굽이굽이 에워싼 산입니다.
영장산은 최근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원래는 ‘매지봉’이나 ‘맹산’이라고 불렀다.
맹산(孟山)은 조선시대 세종이 명재상인 맹사성에게
이 산을 하사해 불리게 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영장산은 소나무와 참나무 군락이 조성되어 있으며
산세가 불곡산에 비해 험준하여 체력단련이 효과적인 산행코스입니다.
태재고개 180m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서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해발 180m로 성남시에서 광주시로 넘어가는 고개들 가운데 가장 험준한 축에 속한다.
조선 중기부터 한양(漢陽)으로 통하는 '큰 고개'라는 뜻으로 태현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원래는 우마차(牛馬車)나 보행자가 겨우 지나갈 만한 길이었으나
1937년 돌마면 면장이 주선하여 고갯길이 조성되었고, 1985년경 도로가 포장되었다.
고갯마루에 고려 말기의 문신 김자수(金子粹)의 묘와 묘비가 있으며,
서남쪽으로 1㎞ 지점에 주몽재활원 설립자이자 사회사업가인 김기인(金基寅)의 묘가 있다.
또 고개 너머 성남시 방면으로는 지역난방공사가, 광주시 방면으로는 판교공원묘지가 있다.
도보 여행 시 주의사항
* 너무 이르거나 늦은 시각에는 도보여행을 삼가 바랍니다.
(걷기 종료시간 : 하절기 오후 6시,동절기 오후 5시)
* 혼자 여행을 할 경우에는 주변 사람에게 행선지를 꼭 알려둡니다.
* 긴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사전 대비를 하세요.
* 길에 쓰레기를 버리지 마세요.
* 도보여행 시작 전에 대중교통 시간을 확인하세요.
* 길 주변 농작물에는 손을 대지 마세요.
* 숲 속 동·식물을 보호합니다.
'둘레길 트래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남누비길5구간 태봉산길 트래킹 (0) | 2021.09.06 |
---|---|
성남누비길4구간 불곡산길 트래킹 (0) | 2021.08.29 |
노원둘레산천길 완주 (0) | 2021.08.24 |
성남누비길2구간 검단산길 트래킹 (0) | 2021.08.22 |
성남누비길1구간 남한산성길 트래킹 (0) | 202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