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장자는 “사람은 흐르는 물에 자신의 모습을 비춰 보지 않고
멈추어 있는 물을 거울로 삼는다.
오직 멈추어 있는 물만이 물의 모습을 보여 줄수 있듯이
고요한 마음만이 모든 행동의 근원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나를 바룸으로 나를 둘러 싼
세계를 바룰 수 있다는 것이다.
천지가 각각 제 위치에 있고 자연의 조화가 그 가운데 행해지는 것은 경하기 때문이다.
경하면 중단하는 일이 없다.
꽃의 향기는 바람을 거스를 수 없으나 덕의 향기는
바람을 거스를 뿐만 아니라 시공을 초월하여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사람의 무늬인 마음은 안에 있어서 볼 수 없으나
언행으로 그 마음의 무늬를 관찰할 수 있다.
입은 마음의 문이니 입을 엄밀히 지키지 않으면 진기가 모두 새어나가고
뜻은 곧 마음의 발이니 뜻을 엄중하게 막지 않으면 바르지 못한 길로 달리게 된다.
뜻은 마음의 발인데 입을 통해그 뜻이 나오고 몸으로 그 뜻을 보여주니 삼가고 삼가야 한다.
특히 입은 화와 복이 드나드는 문이니 잘 단속해야 한다
- 동양 철학의 지혜와 한국인의 삶 -
728x90
반응형
'함께하기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산을 준비하는 마음 (0) | 2021.05.27 |
---|---|
참 좋은 일입니다 (2) | 2021.05.27 |
피그말리온 효과 (0) | 2021.05.27 |
- 하루를 여는 지혜 - (0) | 2021.05.27 |
행복을 주는 우산 소녀 (4) | 2021.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