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일한 당신 후회없는 삶을 위하여 나를 찾아 떠나는 도전
728x90
반응형

경기옛길 81

경기옛길 - 영남길 우회로및 주의구간

● 제1길 달래내고개길 : 청계산 우회로( https://bit.ly/3oHy9UF ) ● 제2길 낙생역길 : (중앙공원 내 길찾기 안내 게시글 준비) ● 제3길 구성현길 ● 제4길 석성산길 ● 제5길 수여선옛길 : 명지대역 앞 공사로 인한 우회( https://bit.ly/3r9fyC3 ) 노적산 인근 통행 자제(길의 흔적이 아예 없어짐) ( https://bit.ly/3cBDgmT ) 우회로 ( https://bit.ly/3anTX2p ) ● 제6길 은이성지 마애불길 : 고당리 우회로( https://bit.ly/3oEWPNB ) ● 제7길 구봉산길 : 조비산 입구 우회로 ( https://bit.ly/3trkQtO ) ● 제8길 죽주산성길 : 시작점 공사 주의 ( https://bit.ly/2R04..

경기옛길 - 의주길 우회로및 주의구간

● 제1길 벽제관길 : 공릉천-벽제천 우회( https://bit.ly/3l0JkaN ) ● 제2길 고양관청길 : 종료된 우회로이나, 풀숲이 우거져 길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아스팔트길을 이용하실 분들은 참고하여 도보여행 하시길 바랍니다. (링크 : https://bit.ly/2MioVRO ) ● 제3길 쌍미륵길 ● 제4길 파주고을길 ● 제5길 임진나루길 : 평화누리길과 겹치는 노선 참고(https://cafe.naver.com/oldroad/11073)

경기옛길 - 삼남길 우회로및 주의구간

● 제1길 한양관문길 : 과천 지식정보타운 공사로 우회( https://bit.ly/2YCFMRO ) ● 제2길 인덕원길 ● 제3길 모락산길 : 시작점 공사로 인한 우회로 ( https://bit.ly/3jccSl0 ) ● 제4길 서호천길 : 철길 공사로 우회 등 주의 ( https://bit.ly/3an5dw9 ) ● 제5길 중복들길 : (종료)서호천 및 중보들공원 우회로 안내 ( https://bit.ly/2Yy6LOp ) ● 제6길 화성효행길 ● 제7길 독산성길 : 독산성 내의 노선 세부 ( https://bit.ly/39EdcWe ) ● 제8길 오산생태하천길 ● 제9길 진위고을길 ● 제10길 소사원길 : 평택 브레인시티 일반산업단지 우회로 이용( https://bit.ly/3eb4Why )

경기옛길 - 삼남길 1길 한양관문길,삼남길 2길 인덕원길트래킹

어제 경기옛길 의주길 1길 벽제관길과 의주길 2길고양관청길 트래킹후 어버이날이라 그런지 도로가 주차장을 방불케해 오랜시간 차량을 이용하고 늦은시간 마무리 하여 피곤함이 밀려와 쉴까하다 홀로 삼남길을 열어 보고자 한양으로 가는 관문인 4호선 남태령역으로 향한다. 트래킹 코스 : 남태령표석 - 온온사 - 과천향교 - 가자우물 - 인덕원옛터 - 학의천 - 백운호수입구 - 백운호수 (15.15km,3시간24분,22,500걸음) 갈때 : 남태령역 하차 2번출구 (지하철 4호선) 올때 : 백운호수 버스정류장 5-1 마을버스 승차 - 인덕원역 하차 인덕원역 (지하철4호선 ) 환승 경기옛길 - 삼남길 1길 한양관문길(남태령 표석 ~ 인덕원 옛터) 한양으로 가는 관문! 한양으로 들어가는 관문인 한양관문길은 남태령에서 시..

둘레길 트래킹 2021.05.10

경기옛길 - 의주길 1길 벽제관길,의주길 2길 고양관청길 트래킹

평해길9,10길을 트래킹 하여 완주 하려 하였으나 청량리역 열차 출발(중앙선 일신역 도착) 시간이 07시46분으로 강팀장과의 시간이 맞지 않아 다음으로 미루고 오늘은 의주1길 벽제관길과 의주2길 고양관청길을 트래킹 하고저 전철3호선 삼송역에서 강팀장과 조우 공릉천을 따라 걷다가 벽제천 못미쳐 비빔국수로 점심을 해결하고 벽제관지에서 의주1길을 마감 의주2길 고양향교 방면으로 재시동 호젓한 산길을 따라 내려오다 준비해간 간식으로 휴식을 취하고 아스팔트길을 좀 걷다 고읍마을에서 다시 산길로 관청령을 넘어 용미3리 마을 버스 정류장에서 744번 버스를 타고 불광역으로 향한다. 어버이날이라 그런지 도로는 그야말로 주차장을 방불케 한다. 동명여고에서 하차 7211번 버스를 갈아타고 숭덕초교에서 153번으로 다시 환..

둘레길 트래킹 2021.05.08

경기옛길 - 평해길 7길 지평향교길,평해길 8길 고래산길 트래킹

이번엔 교통편의상 경기옛길 평해길 7길 지평향교길과 평해길 8길 고래산길을 함께 트래킹 하고저 강팀장과 상봉역에서 조우 경의중앙선 용문역으로 향한다. 트래킹을 마친뒤 버스도 자주 없고 교통도 불편하여 택시를 타고 나오려다 구둔역(폐역)에서 1.2 Km 떨어진 일신역에서 무궁화 열차를 이용 하기로 하고 승차표를 예약후 용문역에서 하차 용문 5일장이라 역앞이 혼잡하여 다음에 구경 하기로 하고 서둘러 지평역으로 향한다. 지평향교를 지나 지평면 사무소 근처 노포같은 막국수집에서 비빔 막국수로 점심을 해결하고 석불역을 거쳐 고래산 임도길로 접어 순조롭게 진행 하였으나 계속되는 반복적인 임도길에 600m 지점 안내 표지판을 무심히 지나쳐 한없이 같은 임도길을 가다 안내 리본이 보이지 않아 하산 하였으나 3Km 를 ..

둘레길 트래킹 2021.05.06

경기옛길 - 평해길 6길 거무내길 트래킹

어제에 이어 경기옛길 평해길 6길 거무내길을 트래킹 하고저 강팀장과 상봉역에서 조우 양평역에서 하차 남한강변을 따라 걷는다. 이번길도 자전거길과 같이 되어있어 자전거를 주의 하며 걸어야 하고 아스팔트길로 연이틀 강행군에 쉽지않은 코스라 힘들었지만 강과 흑천을 따라 걷는것으로 위안을 삼으며 용문역에서 나주곰탕에 쇠주 한잔으로 트래킹을 마무리 한다. * 주의사항 이번 평해길 6길 거무내길도 자전거길과 겹치는 부분이 많아 트래킹시 자전거에 주의를 기울여함 갈때 : 양평역 (경의중앙선 전철이용) 올때 : 용문역 (경의중앙선 전철 이용) 트래킹 코스 : 양평역 - 흑천 - 원덕역 - 용문역 (18.64Km, 4시간35분 , 29,600걸음) 평해길 6길 거무내길(양평역 ~ 용문역) 거리 : 17.7 Km 난이도 ..

둘레길 트래킹 2021.05.03

경기옛길 - 평해길 5길 물끝길(양근나루길) 트래킹

비가 잡혀 있어 쉴까하다. 내일 일정에 대해 강팀장과 통화 했는데 오늘도 걷자하여 전주에 이어 경기옛길 평해5길 물끝길을 트래킹 하고저 상봉역에서 강팀장과 조우 경의중앙선 전철을 타고 신원역에서 하차. 중간 국수역 국시리집에서 비빔메밀국수와 보리밥으로 점심을 해결하고 오늘 종착지인 양평역으로 남한강을 따라 걷는다. 비가 오락가락 하였으나 많은비는 아니어서 또다른 분위기를 만끽하며 트래킹을 종료후 상봉으로 되돌아와 저녁을 하려 했으나 시간이 맞지않고 내일도 17.7Km를 걸어야 하기에 바로 집으로 귀가함. 갈때 : 신원역 (경의중앙선 전철이용) 올때 : 양평역 (경의중앙선 전철 이용) 트래킹 코스 : 신원역 - 국수역 - 아신역 - 곤충박물관- 들꽃수목원 - 물안개공원 - 양평역 - ( 15.03Km, 3..

둘레길 트래킹 2021.05.01

경기옛길 - 평해길 4길 두물머리나루길 트래킹

전주에 이어 경기옛길 평해길4길 두물머리나루길을 트래킹 하고저 상봉역에서 강팀장,안.송부부와 조우 경의중앙선 전철을 타고 운길산역에서 하차. 양수교를 건너 오늘 종착지인 신원역을 향해 남한강변을 따라 걷는다. 갈때 : 운길산역 (경의중앙선 전철이용) 올때 : 신원역 (경의중앙선 전철 이용) 트래킹 코스 : 운길산역 - 두물머리 - 양수역 - 한음 이덕형 신도비 - 몽양 여운형 생가 -신원역 ( 17.07Km, 4시간29분, 28,000걸음) 평해길4길 두물머리나루길 (운길산역 - 신원역) 거리 : 15.2Km 난이도 : 보통 두 강이 만나 하나가 됨을 느끼는 치유의 길 두물머리나루길은 팔당호와 어우러진 경관이 아름다워 드라마촬영 및 사진촬영지로 자주 이용되며, 많은 관광객이 붐비는 곳입니다. 두물머리는 ..

둘레길 트래킹 2021.04.26

경기옛길 - 평해길 2길 미음나루길,평해길 3길 정약용길 트래킹

전주에 이어 경기옛길 평해2길 미음나루길 일부와 평해3길 정약용길을 트래킹 하고저 상봉역에서 강팀장과 조우 경의중앙선 전철을 타고 저번주 평해2길 미움나루길 구간중 일부 마친 덕소역에서 하차 덕소역 입구에서 한강변을 따라 오늘 트래킹 종착지인 운길산역으로 향한다. 날이 더워지는 관계로 그늘 하나 없는 한강변을 수많은 자전거들을 조심하며 자전거길과 같이 아스팔트길을 걷는 다는것이 녹록치많은 않은 일이다. 다행히도 한강변을 바라보며 걷는다는 걸로 위안을 삼으며 생태공원에 들어서니 다산유적지까지는 흙길과 산길 한강이 어우러진 멋진 풍광에 발바닥 아픔도 잊고 능내역을 거쳐 운길산역에서 트래킹을 마감하고 상봉역으로 되돌아와 강팀장 동생과 합류 감자탕에 저녁을 마치고 귀가한다. 갈때 : 덕소역 (경의중앙선 전철이용..

둘레길 트래킹 2021.04.19

경기옛길 - 평해길에서 만날 수 있는 문화유산

제1길 근심을 잊는 고개 망우리고개,근현대 역사교과서 망우묘역 젊음과 활력의 상징 구리전통시장,왕이 여덟 밤을 유숙한 왕숙천 제2길 인문지성의 산실 석실서원(石室書院) 제3길 옛추억의 향수 능내역,자연과의 조화 생태공원,실학의 집대성자 정약용유적지 제4길 사계절 다른 매력 두물머리,조선중기의 큰 인물 한음 이덕형,민족의 지도자 몽양 여운형 제5길 천주교 신자의 순례지 양근성지,물안개 피는 몽환적공간 물안개공원 제7길 한민족 역사적 전환의 장소 지평의병·지평리전투기념관 제8길 산세가 고래모양 같다고 붙여진 고래산 제9길 옛사랑 추억의 공간, 구둔역 도보 여행 시 주의사항 *너무 이르거나 늦은 시각에는 도보여행을 삼가 바랍니다. (걷기 종료시간 : 하절기 오후 6시, 동절기 오후 5시) *혼자 여행을 할 경..

경기옛길 - 평해길

평해길에서 볼 수 있는 이정표 옛길을 찾아 새길을 걷는다 장거리 역사문화탐방로· 트레일 워킹코스 한강 수변의 진수, 민중의 삶과 마주하다. 평해대로(관동대로) 조선시대에 사용된 6대로 중 주요 간선도로의 하나로 서울에서 경기도 동부를 통과하여 강원도 강릉을 지나 동해안의 해안선을 타고 평해까지 잇는 최단거리의 노선을 ‘평해로’ 또는 ‘관동대로’ 라고 불렀습니다. 이 도로는 현재 경기도의 행정구역상으로 구리, 남양주, 양평을 경유합니다. 평해로는 관동대로라는 별칭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관동지방인 강원도와 한양을 연결해주던 길입니다. 평해로는 단종이 영월로 유배를 가며 걷던 길이고, 신사임당이 어린 율곡을 데리고 한양으로 오던 길이며, 원주 원님을 비롯한 관동지방 각 군·현에 부임한 관리들이 원주 감영을..

경기옛길 - 영남길에서 만날 수 있는 문화유산

제1길 천림산 봉수대,판교박물관,낙생대공원 제2길 수내동 가옥 제3길 민영환 선생 묘,마북동 석불입상 제4길 석성산 제5길 묵계 유복립 정려각 제6길 은이성지,문수산 마애보살상 제7길 유형원 선생 묘 제8길 봉업사지,당간지주,오층석탑,매산리 석불입상,죽주산성 제9길 죽산성지 제10길 어재연 장군 생가 도보 여행 시 주의사항 *너무 이르거나 늦은 시각에는 도보여행을 삼가 바랍니다. (걷기 종료시간 : 하절기 오후 6시, 동절기 오후 5시) *혼자 여행을 할 경우에는 주변 사람에게 행선지를 꼭 알려둡니다. *긴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사전 대비를 하세요. *길에 쓰레기를 버리지 마세요. *도보여행 시작 전에 대중교통 시간을 확인하세요. *길 주변 농작물에는 손을 대지 마세요. *숲 속 동·식물을 보호합..

경기옛길 - 영남길

영남길에서 볼 수 있는 이정표 동아시아의 문화허브 영남대로는 조선시대에 사용된 6대로 중 주요 간선도로의 하나이며 서울과 부산을 잇는 최단거리의 노선으로 국제적인 문화와 경제교류의 허브로서 동아시아 문화가 왕래한 핵심적인 루트였습니다. 영남대로 조선시대에 사용된 6대로 중 주요 간선도로의 하나로 서울과 부산을 잇는 최단거리의 노선을 ‘영남대로’ 또는 ‘동래로’라고 불렀습니다. 문경새재(643m)를 통과한 후 상주에서 대구를 경유하여 부산진에 이르는 이 도로는 현재 경기도의 행정구역 상으로는 성남, 용인, 안성, 이천을 경유합니다. 한강 유역과 낙동강 유역의 교통은 약 2세기 중엽부터 활발했던 것으로 보이며, 삼국통일 이후 경주를 중심으로 교통망이 본격적으로 정비되면서 영남대로가 본격적으로 성립되었습니다...

경기옛길 - 의주길에서 만날 수 있는 문화유산

제1길 김지남묘,덕명교비 제2길 고양 벽제관지,고양향교,연산군시대금표비,파주 혜음원지 제3길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파주 윤관장군묘 제4길 파주향교 대성전 제5길 이세화선생묘,화석정,자유의 다리 도보 여행 시 주의사항 *너무 이르거나 늦은 시각에는 도보여행을 삼가 바랍니다. (걷기 종료시간 : 하절기 오후 6시, 동절기 오후 5시) *혼자 여행을 할 경우에는 주변 사람에게 행선지를 꼭 알려둡니다. *긴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사전 대비를 하세요. *길에 쓰레기를 버리지 마세요. *도보여행 시작 전에 대중교통 시간을 확인하세요. *길 주변 농작물에는 손을 대지 마세요. *숲 속 동·식물을 보호합니다.

경기옛길 - 평해길 1길 망우왕숙길,평해길 2길 미음나루길 트래킹

코로나19 확진자의 증가로 안내산악회 리딩을 포기하고 경기옛길을 트래킹 하기로 계획하고 강팀장과 상봉역에서 조우 시발점인 딸기원으로 향한다. 평해길1길은 딸기원에서 미음나루 까지 인데 교통편을 감안 덕소역까지 가기로 하였다. 망우산을 내려 오면 거의 아스팔트길을 걷고 그늘없는 왕숙천 을 한여름 날씨(24도)에 걷자하니 힘이들어 2길까지 마치려 하였으나 원래 계획했던 덕소역 까지만 트래킹을 종료 하고 서울로 되돌아 온다. 트래킹 코스 : 딸기원 - 망우산입구 - 구리시청 - 구리역 - 왕숙천 - 미음나루 - 조말생묘 - 덕소역 (14.74 Km,3시간43분) 갈때 : 상봉역(7호선,경춘선,경의중앙선)하차 상봉버스정류장 구리방향 165번 버스 환승 올때 : 덕소역(경의중앙선) 전철 이용 * 주의할점 평해길 ..

둘레길 트래킹 2021.04.12

경기옛길 - 의주길

의주길에서 볼 수 있는 이정표 조선시대 대로중에서 의주대로를 기반으로 조성된 역사문화탐방로 의주대로는 한양 돈의문을 출발하여 중국 연경(북경)까지 연결된 한반도와 세계를 연결했던 문명의 길이었습니다. 의주대로 한양과 의주를 잇는 옛길인 ‘의주대로’는 ‘관서대로’, ‘경의대로’, ‘연행로’등으로도 불렸습니다. 중국을 오가던 사신들은 모두 이 길을 이용했기 때문에 의주대로는 조선시대의 대로(大路) 중에서 가장 중요한 길이었습니다. 이 길은 중국을 통해 전 세계의 발달된 문물이 소개되는 문명 교류의 장이었으며, 조선의 고고한 정신적 문화와 자긍심이 세계로 나가던 이른바 ‘한류의 수출로’였습니다. 또한 일본과 중국을 연결하는 동아시아 무역로의 중심이기도 했습니다.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무대가 되었던 길이고,..

경기옛길 - 삼남길에서 만날 수 있는 문화유산

제1길 온온사,가자우물(찬우물) 제2길 인덕원터 제3길 임영대군이구묘역 및 사당,사근행궁터 제4길 해우재,지지대비 제5길 수원축만제 제6길 화성 융릉과 건릉,용주사 제7길 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 제8길 오산시궐리사 제9길 진위향교대성전,원균장군묘 제10길 갈원, 옥관자정, 대동법시행기념비(김육대동균역만세불망비) 도보 여행 시 주의사항 *너무 이르거나 늦은 시각에는 도보여행을 삼가 바랍니다. (걷기 종료시간 : 하절기 오후 6시, 동절기 오후 5시) *혼자 여행을 할 경우에는 주변 사람에게 행선지를 꼭 알려둡니다. *긴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사전 대비를 하세요. *길에 쓰레기를 버리지 마세요. *도보여행 시작 전에 대중교통 시간을 확인하세요. *길 주변 농작물에는 손을 대지 마세요. *숲 속 동·식..

경기옛길 - 삼남길

삼남길에서 볼 수 있는 이정표 세 개의 부메랑 : 삼남(충청, 전라, 경상)으로 가는 길 황토흙의 색인 주황색은 땅끝을, 숲의 색인 녹색은 서울을, 세 개의 부메랑 표시는 삼남길을 뜻하며 복원을 의미합니다. 삼남대로 조선시대 6대 대로 중 한양과 충청, 전라, 경상의 삼남지방이 이어었던 1,000리에 달하는 긴 길을 ‘삼남대로’라고 불렀습니다. 조선시대 육로교통의 중심축으로 과거를 보러가던 젊은 선비들이 이 길을 걸었고, 삼남지방의 풍부한 물산도 이 길을 오갔습니다. 또한 이 길은 정조께서 아버지 사도세자를 참배하기 위해 현륭원으로 행차하던 길이며, 이순신 장군이 전라 좌수영으로 부임하던 길이고, 삼봉 정도전, 다산 정약용이 유배를 떠났던 길이며, 암행 어사가 된 이몽룡이 남원으로 한달음에 달려가던 길이..

경기옛길 이란 ?

역사문화 탐방로 경기옛길 ! 경기옛길은 역사적 고증을 토대로 원형을 밝혀 지역의 문화유산을 도보길로 연결한 새로운 형태의 역사문화탐방로입니다. 조선시대에는 한양과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있었습니다. 이 중 경기도를 지나는 주요 6개의도로망은 제1로인 의주로를 시작으로 시계방향으로경흥로ㆍ평해로ㆍ영남로ㆍ삼남로ㆍ강화로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원형길을 바탕으로 새롭게조성한 길이 바로 ‘경기옛길’입니다. 2012년 10월 삼남길 경기도 구간 중수원ㆍ화성ㆍ오산 구간이 개통되었고 2013년 5월 삼남길 경기도 전체 구간이개통되었습니다. 같은 해 10월에는 의주길 고양ㆍ파주 구간이개통되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성남ㆍ용인ㆍ안성ㆍ이천을 잇는 영남길이 조성ㆍ개통되었고 2020년 평해길(구리-남양주..

728x90
반응형